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종합소득세 세율, 과세표준 정리
by 라이프델라 2022. 5. 24.

반응형
종합소득세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소득세 신고 세율과 과세표준에 대해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
지난 글에서는 종소세의 기본적인 사항과 대상, 기간 및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렸는데요,
오늘 글은 그 두 번째 시리즈로 세율, 가산세 과세표준 등과 같은 조금 더 디테일한 사항을 함께 정리해보았습니다.


종합소득세?

소득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개인에게 귀속되는 각종 소득을 종합하여 과세하는 소득세입니다.

종합소득에는 1년 동안 발생한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 임대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기타 소득 등이 포함되며,
2022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간 2021년 종합소득에 대한 신고를 필수적으로 해야 합니다.

신고는 자진신고납부제도이므로, 신고자가 스스로 이 기간 내에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기간, 신고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신고기간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5월 1일 ~ 5월 31일입니다.

*성실신고확인서제출자는 6월 30일까지 신고
예외적으로 동해안 산불 피해자분들은 8월 30일까지 신고

신고방법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 혹은 모바일 앱 손택스를 통해 빠르게 전자 신고할 수 있으며,
모두채움신고 환급 안내문을 받은 납세자는 ARS (1544-9944) 로도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세율

종합소득세 세율 적용 방법은 짧게 요약하면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입니다.

즉 적용되는 세율을 알려면 나의 과세표준을 알아야 하는데요,
과세표준이란 필요경비를 공제한 후 1년 이내의 총소득액을 말하며,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이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각 금액에 해당하는 누진공제 금액을 적용하면 최저 6%에서 최대 45%까지 종합소득세율을 부과받게 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세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필요경비란, 돈을 벌기 위해 들어간 비용(인적공제, 의료비, 교육비, 주택자금 등)을 말합니다.
총소득 - 필요경비 = 과세표준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종합소득세 세율


예를 들어 나의 2021년도 과세표준이 30,000,000원이었다면,
세율 15%이 적용되고 거기서 누진공제를 빼면 3,420,000원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참고로 과세표준이 1,200만 원 미만이면 누진공제가 없고 6% 세율이 일괄 적용됩니다.


세액계산 흐름도

종소세 새액계산흐름도



종합소득세 신고




가산세 목록

가산세납세자가 세금을 납부하지 않았거나 내야 할 세금에 미달하게 납부한 경우, 또는 환급받을 세액을 초과하여 환급받은 경우 등등에 부과하는 비용입니다.

불필요한 세금을 더 납부하지 않도록 사전에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종합소득세는 기간 내에 신고 및 납부하지 않으면, 미신고 최고 세액의 20%까지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간 안에 놓치지 않고 잘 신고하셔서 불필요한 지출 및 시간을 아끼시기 바랍니다.

종합소득세



▼같이 읽으시면 좋은 글▼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신고대상, 신고방법

5월은 소득이 있는 사람의 대부분이 놓치지 않고 납부해야하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입니다. 근로소득자라고 하더라도 임대수익 등 근로소득 이외의 수익이 있다면 이 신고기간내에 꼭

lifedella.tistory.com

근로장려금 2022 핵심총정리

안녕하세요, 근로장려금에 대해 들어보신적있나요? 짧게 말하면 지속적인 근로를 장려하기 위해 추가적인 지원금을 주는 제도인데요, 오늘은 이 근로장려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lifedella.tistory.com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지원금 총정리

물가는 크게 오르지만 월급은 그대로인 요즘, 청년들 삶이 많이 팍팍하고 힘듭니다. 이럴 때일수록 눈을 크게 뜨고 조금이라도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은 최대한 긁어모아 조금이라도 목돈을 만

lifedella.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