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펫 상식
귀잘린고양이 TNR정책 뜻, 장점, 찬반논란
by 라이프델라 2022. 2. 8.

반응형

귀잘린고양이 TNR정책 뜻, 장점, 찬반논란

길거리에서 귀 잘린 고양이를 보신 적이 있나요? 오늘은 이렇게 길고양이들의 귀가 조금 잘려있는 이유와 더불어 TNR의 뜻,시행 이유 등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귀가 조금 잘려있는 고양이귀가 조금 잘려있는 고양이
길고양이 TNR 완료모습

 

귀 끝이 잘린 고양이

길가에서, 혹은 인터넷에서 혹시 귀 끝이 조금 잘린 고양이를 본 적 있으신가요?

이 사업이 시작된지는 꽤 오래됐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관련 홍보가 잘 안 되어있어 고양이에게 관심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면 모르시는 분이 많으실 듯합니다. 모르는 채로 본다면, 잘린 귀를 보고 아마 어디서 다쳤나 보다 혹은 다른 고양이랑 싸우다가 뜯겼나 보다 생각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도 마찬가지였어서 참 안됐다,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

 

사실 이 귀는 자연적으로 혹은 다쳐서 생긴것이 아니라 TNR을 진행했다는 표식으로, 추후 중복하여 TNR을 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사람들이 일부 잘라둔 것입니다. 영구적인 상처이긴 하지만, 잘린 귀 끝이 자라나진 않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표식이라고 결정한 것 같습니다.

 

 

 

TNR의 의미와 시행이유

TNR이란 Trap-Neuter-Return 또는 Trap-Neuter-Release의 줄임말로, 길고양이를 포획(trap)하여 중성화 수술(neuter)을 한 후 다시 방사(return)하는 것을 말합니다. 길고양이가 점차 많아지고 위협 및 불편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와중, 무분별한 번식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취하는 조치이며 현재는 길고양이에게만 시행되고 있습니다.

 

TNR은 최종적으로 길고양이의 개체 수 조절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서울을 비롯, 수도권 대부분에서는 이미 지방자치단체에서 길고양이 정책으로 오래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업은 왜 하는 걸까요?

개체수 조절을 통해 길고양이 영역을 안정화시키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사람에게는 울음소리를 감소시키고 추가적인 길고양이 번식을 막아 그들로부터 오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함께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과 동물이기에 함부로 살육할 수 없고, 그렇다고 사람들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그대로 둘 수도 없기 때문에 행하고 있는 조치입니다. 

 

TNR은 아무 고양이나 잡아들여 시행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새끼 고양이, 체중이 2kg가 넘는 고양이에게는 시행하지 않으며, 임신을 했거나 이미 새끼를 낳아 양육 중인 고양이도 제외 대상입니다.

 

실제로 이 정책을 통해 미국에서는 길고양이 개체수가 60%대 줄었고, 이탈리아에서도 30%에 이르는 큰 효과를 보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TNR은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인데요, 중성화 수술 비용 자체도 혼자 대기 어렵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길에서 빠르게 도망 다니는 고양이를 잡아 포획하고, 사비로 수술을 시키고 방사하는 과정이 사실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개인이 직접 진행하겠다면 문제는 없지만 사실상 준비 과정이 없으면 포획은 거의 불가능하며, 국내 각 지자체에 연락해서 잡아달라고 해도 바로 누군가 달려와 포획을 해주지 않습니다.  지자체 입장에서도 한 번에 대량으로 많은 개체를 TNR 하는 것이 시간, 재정, 인력 관점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TNR은 구역 내 파악된 개체 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합니다.

 

 

TNR 찬반 논란

TNR 실시에는 찬반이 명확하게 갈립니다. 

지지자들은 이 방법의 R을 리턴(Return:방생)으로 해석하며 길고양이와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의견이고, 반대자들은 릴리즈(Release:재방사) 또는 리어밴던(Reabandon:재유기)으로 부르며 길고양이의 동의 없이 자의적 판단에 따라 생식 능력을  빼앗는 것이라 결국 동물권을 침해하는 것과 같다는 의견, 생태계 위해종을 풀어놓는 것과 같다고 보기도 합니다. 

 

 

게다가 실효성이 적다는 의견도 많은데 실제로 모든 고양이들을 한 번에 중성화하지 않는 이상 번식은 계속 연쇄적으로 일어나기에 효과가 적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찬성자들은 수술 안정성의 문제는 있지만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에 분명한 효과 및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TNR 정책은 현재 ‘몇 마리를 수술해주었느냐’를 중점으로 하고 있는데, 공적 차원에서 그 이후 고양이들의 삶을 모니터링하고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겠습니다. 이 부분을 사적 차원에서 (캣맘, 캣대디 등) 많이 진행하다 보니, 지역 주민 간 협의가 되지 않아 많은 논란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워낙 동물을 좋아했다 보니 가끔 '당연히 동물과 사람이 어우러져 살아야지'했던 생각이 너무 이기적이었다는 것을 깨달을 때도 있습니다. 캣맘 캣 대디, 길고양이 이슈에서도 그러한데요. 위험한 도시에서 살아간다고 불쌍하다는 인식에서 무작정 밥을 주고 수술해주고 하는 것이 누군가에게는 굉장히 불편할 수 있다는 점을 또 깨닫습니다. 

 

 

 

오늘도 유익하게 읽어주셨길 바라며, 이만 글 마칩니다!

 

 

 

 

펫로스 증후군의 의미, 증상, 극복 방법과 문제점

펫로스 증후군의 의미, 증상, 극복 방법과 문제점 혹시 펫로스 증후군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오늘은 펫로스 증후군의 뜻, 증상, 극복법과 문제점까지 함께 짚어보려고 합니다. 귀여운 새끼

lifedella.tistory.com

 

고양이 화장실 관련 팁과 주의사항

고양이 화장실 관련 팁과 주의사항 깔끔한 동물로 알려져 있는 고양이들에게 화장실은 무척이나 중요한 곳입니다. 바로 삶의 질에 아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그들의 행복 및 스트레스와도 직결

lifedella.tistory.com

 

강아지, 반려견 죽는꿈 해몽

혹시 키우는 강아지가 죽는 꿈을 꾸셨나요? 이유가 어쨌든 영 기분이 찝찝하고 혹시 의미가 있는 것인지 궁금하실듯 하여 관련 내용을 찾아보았습니다. 사실 해몽이라는 것이 작은 디테일이나

lifedella.tistory.com

 

반응형

댓글